이런 형태의 파티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행동력이 떨어져서 과연 가능성이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그렇다고 가능성이 아예 없진 않다 생각해본다. ^^;
내가 생각하는 것은 아주 즐겁게 참여해서 즐겁게 한판 놀아보는..
프로젝트도 아니고 이벤트도 아니고 난장 같은 것? ㅋㅋ
생각만도 즐겁군.
캐시몹 정의
캐시몹은 현금을 뜻하는 `캐시`와 무리를 뜻하는 `몹`의 합성어다.
이해를 돕기위해 먼저 플래시몹을 생각하면 되겠다. 플래시몹은 서로의 얼굴을 모르는 사람들끼리 갑자기 만나서 어떤 특정한 행위를 하고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소규모 가게에 소비자들이 갑자기 나타나 현금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행태를 뜻한다. SSM(Super Super Market)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들로 인해 침체되고 있는 지역상권을 살리고 영세 상인과 지역상권을 돕기 위해 고안된 `착한 소비`라 할 수 있다.
초기 창시자인 Christopher Smith 는
"소비자들은 할인을 해주는 가게로 몰려가는 데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지역의 건강하고 가치 있는 작은 가게들을 지원한다는 명분이 있다면 별다른 할인 서비스 없이도 많은 사람들이 캐시 몹에 참여한다"
고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캐시몹은 미국 클리블랜드에 사는 변호사 앤드루 샘토이가 영국 여행 중에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영세한 상점을 습격해 물건을 약탈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아 자신의 트위터에 캐시몹을 제안했다. 첫 타깃은 클리블랜드에 있던 한 동네 서점이었다. 샘토이는 트위터에서 40여 명의 참가자들을 모아 이곳에서 30분간 번개 쇼핑을 했고, 이것이 입소문을 타고 미국 전역으로 퍼졌다.
캐시몹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 특정 시간에 상점에 모여 20달러 이상 써야 하고, 주인에게 할인을 요구하면 안 된다. 쇼핑에만 몰두하지 말고 함께 참가한 사람 3명 이상과 대화를 나눠야 한다. 등등..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 규칙]
1. 적어도 1주일 전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이메일 등을 통해서 만남 장소가 알려져야 한다.
2. 더 사고 싶어도 1인당 한 장소에서 20달러 이상 쓰면 안된다.
3. 가게에는 20달러 이하의 남녀를 위한 제품이 있어야 한다.
(20달러 이하 제품, 남성 여성을 위한 상품이 모두 있어야 함)
4. 가게는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곳이어야 한다.
(가맹점, 대형마트 안됨)
5. 가게 주인은 도움 받은 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
6. 캐시몹 활동 예고를 하기 전에 가게 주인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7. 가게는 지역소유의 식당 및 강당(Watering Hole)에서 1구역 내 위치해야 한다.
(사람들이 모일 장소가 근처에 있어야 함)
8. 캐시몹에 참여한 사람들은 성공적인 몹이 끝난 후에는 반드시 기념파티에 참석해야 한다.
9. 캐시몹은 주중 저녁이나 주말에 열린다.
10. 캐시몹이 끝난 후 증명사진을 블로그에 올린다.
11. 주차가 가능해야 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물론 각 캐시몹 그룹에 따라서 규칙이 추가되거나 변경되기도 하지만 바뀌지 않는 규칙은 3가지 이다.
1. 20달러까지만 쓴다.
2. 적어도 만난 적 없는 사람들은 3명 이상 만나야 한다.
3. 즐긴다!
[행사 참여 및 실천 방법]
1. 지역 내에서 지원하고 싶은 상점을 선택한다. (영세상점이나 시장만 가능)
2. 가게 주인에게 캐시몹 계획을 미리 알리고 허가를 맡는다.
(만약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서 안전의 위험이 있다면 경찰에 미리 알리는 것을 잊지 말 것!)
3. 홍보하기 시작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를 통해 행사할 시간과 날짜를 알린다.
그러나 정확한 장소는 알리지 않는다!
참여자들은 캐시몹이 시작하기 전까지는 정확한 장소를 알면 안된다.
4. 지역 신문사나 방송사에 알려서 사람들의 관심을 모은다.
행사가 일어나기 전에 계속해서 SNS를 통해 사람들에게 홍보한다.
5. 행사가 시작하는 시각!
그 때 사람들에게 장소를 SNS를 통해 알린다!
6. 캐시몹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지역의 식당에 가서
사람들과 함께 파티를 즐기면서 오늘의 캐시몹에 대해 평가를 한다.
7. 다음에 더 잘하도록 한다!
기획재정부 장관인 박재완 장관이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진행한 캐시몹이다.
http://www.facebook.com/jaewan.bahk/posts/395299690514327
중소기업청에서 진행한 1빵20인 캐시몹 이벤트 영상
http://www.virect.com/videos/47/
좀더 상큼 발랄한 우리 청년들의 캐시몹 소개
http://bluemarbles.tistory.com/1841
참고자료
[116호] 착한경제시리즈 ① 캐시몹! 캐시몹? Cash Mobs?|작성자 기업세상
mk 뉴스 [경제용어산책] 캐시몹 (2012.05.18)
'Collectiv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 (0) | 2012.04.05 |
---|---|
[절약]전기세 절약방법! 이렇게 해보세요~ (0) | 2009.11.12 |
[재테크]종자돈의 종자돈 1억원 모으기 (0) | 2009.11.12 |
[생활노하우]‘수납의 달인’ 에게 배우는 공간 활용·정리법 (0) | 2009.11.12 |
[재테크]전직 은행원이 말하는 똑똑한 은행 활용법 5 (0) | 2009.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