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수입의 60퍼센트 이상 저금하기
1년에 1천만원을 모은다는 것은 총 수입액보다는 수입의 몇 퍼센트를 저금하느냐에 달려 있다.
기본 월급이 1백만원이라면 60만원 이상은 저금을 해야 하며, 한 통장에 저금액 전부를 넣는 것
보다는 목돈으로 만들 수 있는 저금액과 주택, 자동차 등의 금융상품에 맞는 이율이 높은 통장
에 나머지를 저금하는 것이 현명하다.
02 주거래 은행을 만들자
돈을 모으는 데 있어서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이 은행과 통장이다. 나중에 대출이라도 받으려면
주거래 은행을 만들어 실적을 꾸준히 쌓아가는 것이 좋다. 요즘은 우대고객과 비우대고객에 대
한 서비스가 하늘과 땅 차이다. 우수고객에게는 금리 우대, 수수료 우대부터 무료 자산 운용 컨
설팅 등의 부가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주거래 은행은 급여가 자동 이체되는 은행이면 좋고, 또
한 미래를 생각해 대출 금리가 낮은 은행이 좋다.
03 금융상품
언제든 꺼내 써야 할 돈은 이자가 높은 통장에 넣어두고, 여유 자금은 만기가 일정하고 이율이
높은 자유적립식 예금이나 정기예금, 신탁상품에 넣어 따로 관리한다. 또한 정기적금이나 신용
부금 등 적립식 상품에 가입할 때는 세금우대 상품이 좋다. 근로자비과세저축이 사라진 요즘은
상호부금이 인기 상품인데 일정한 소득을 6개월에서 3년 정도의 기간에 목돈을 모으는 데 적합
하다. 또한 내 집 마련을 위해선 주택 청약 통장도 필수.
04 종잣돈을 만들자
종잣돈은 부자를 만들어줄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 목돈으로 종잣돈을 만들어두면 좋은 재테크
상품이 나왔을 때 놓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된 재산을 불리고 불려주는 또 다른 강
력한 재테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잣돈의 저축-목돈-투자-목돈-투자-목돈으로 이어지는
마법의 사이클을 잊지 말자.
05 카드 사용의 달인이 되자.
신용카드를 잘못 쓰면 패가망신한다는 말이 있지만 잘 쓰면 가장 효과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기반이 되어준다. 여러 개의 신용카드는 무자비한 소비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한도를 낮추고 자
주 가는 곳의 할인 혜택이 많이 주어지는 딱 한 장의 신용카드만 사용한다. 할인 카드와 극장 카
드, 교통 카드를 잘 이용해 포인트를 올리고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06 여유 자금으로 하는 주식 투자
부자들의 절대 원칙 중 하나인 주식 투자는 여유자금으로 하는 것이다. 월 1백만원의 수입이라
면 10만원 정도를 여유 자금으로 주식 투자나 수익형 펀드를 해보는 것이 좋다. 요즘에는 인터
넷으로 손쉽게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으며 젊은 학생들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관심 있는 영화 펀
드에 투자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07 정기보험이 가장 저렴하다
돈 아낀다고 보험까지 외면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그러나 같은 혜택이라면 보험료를 가급
적 월급의 5%대로 낮춰야 한다. 저축형보다는 보장형이, 만기환급형보다는 순수보장형이 좋
다. 권하고 싶은 것은 종신보험의대안상품인 정기보험. 대부분의 혜택이 종신보험과 같을 뿐더
러 원하면 만기에 종신보험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08 자동차는 잠시 미루자
직장에 들어가면 차부터 사는 이들이 많다. 이 단계에서 장기 할부로 차를산다면 재테크는 포기
해야 한다. 설령 할부구매를 하지 않았더라도 유지비등을 감안하면 1,500만원짜리 예금과 30만
원짜리 적금을 포기하는 셈이다. 차는 2세가 태어났을 때 사도 늦지 않는다.
출처: daum
'Collectiv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 (0) | 2012.04.05 |
---|---|
[절약]전기세 절약방법! 이렇게 해보세요~ (0) | 2009.11.12 |
[생활노하우]‘수납의 달인’ 에게 배우는 공간 활용·정리법 (0) | 2009.11.12 |
[재테크]전직 은행원이 말하는 똑똑한 은행 활용법 5 (0) | 2009.11.12 |
[재테크]10억을 모으는 9가지 자세 (0) | 2009.11.12 |